티스토리 뷰

현재 싸면서도 기본에 충실한 어플(Markgit) 을 가지고 깃허브 동기화를 안내드리고 있습니다.

https://ho4win.tistory.com/20

 

Obsidian 동기화 With Markgit (1편)

1. 먼저 컴퓨터에서 깃허브를 로그인 하여 새로운 저장소 하나를 만들어 줍니다. 2. 새롭게 만들어진 저장소에서 아래 그림에 보이는 링크 주소를 복사합니다. 복사 주소를 하용하게 되는데요~

ho4win.tistory.com

 

1편 글 정리

- 컴퓨터 : 깃허브 - 새 저장소를 만든다.

- 어플을 다운 받는다.

- 로컬 - 옵시디안 폴더 내에 새 폴더를 만든다.

- 어플에서 로컬 폴더를 선택한다.


 

1. 자~ 이제 로컬 폴더를 선택하고 난 화면 입니다.

화면 오른쪽 상단의 느낌표(!) 를 클릭해 줍니다.

 

Add remote 를 클릭해 주세요

 

 

2. 깃허브(github.com)에서 생성한 저장소의  http 주소를 이용하여 연결하도록 하겠습니다.

1) Remote name: 구분되어지는 이름이면 됩니다.  그냥 보통 저장소 이름과 똑같게 설정~

 

2) Remote URL: 이 부분 중요합니다.

 1편!! 에서 복사해 둔 그 주소!!!! 

https://(자신의깃계정이름)@github.com/(자신의깃계정이름)/test-mark.git 

복붙해 줍니다.

[중요] 꼭 저 빨간 부분을 추가해 주세요

 

3) Select a credential: 자신의 깃 계정을 로그인 해 주고 선택해 줍니다.

깃허브 자신의 계정이 있는 것을 선택해 주면 됩니다.

나중에 토큰을 사용해서 연결하거나 SSH 를 생성하여 연결하는것도 가능합니다.~

 

다~ 선택되었다면 이제. 이전 화면에서 Save 해 주세요.   

그리고 바뀐 화면에서 오른쪽 상단의 Close  눌러주세요

 

3. 이제 설정은 끝났고, 동기화 Sync 를 실행해 보자

아래 메뉴 중 2번째 가지 모양을 눌러 화면을 바꾸고,

Sync 버튼을 한번 눌러보자~ 휘리릭~~~ 뭔가 작동 되는 듯 하다~ 오예~

 

 

4. Obsidian 실행 후 동기화

 1) 옵시디안을 열고 노트 작성

2) 끄고 나와서 Markgit 실행

파일이 안 보인다면 새로고침을 해 보면 조금전 작성한 노트 파일이 보입니다~

 

 

5. 마지막! 깃허브와 동기화 하기 (아래에서 위로)

 1) 조금전 가지모양을 눌러보면 아래 그림과 같은 형식으로 보입니다.

Stage all - 클릭!

 

2) Commit - Sync 순입니다.

커밋 눌렀을때. 어떤 내용을 커밋하는지 작성 가능 합니다.

그리고 싱크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. (아래에서 위로!!)

 

끝~ 

 

깃허브를 통해 동기화하는 건데요~

비싼 어플 그리고 매달 정기 결재해야 되는 경우들이 있을텐데

이 어플은 단순하면서 모든 기능을 다 가지고 있는 듯 합니다.

엄청난 어플인듯 합니다~ 감사합니다.

 

 

[참고] 안내 그림들을 보시면 test2   저장소로

처음에 제가 해 보고. 안내를 드리기 위해

새로 저장소 만들어서 함께 따라가는 느낌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.

 

참 그리고. 기기를 두 개 이상 이런 과정으로 동기화 한다면

맨 처음 파일이 거의 없는 빈 상태에서 

각 기기 마다 동기화 작업 후에 노트를 만들어 가세요~

 

제가 해 보니

처음에 만들어진 노트 후에 

새로운 기기를 동기화 시킬려고 하니

기존 파일이 일단 다 지워지고 동기화 되더군요~

참고해 주세요~

감사합니다~

 
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7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