깃허브를 이용하여 옵시디언 자료를 동기화할때 소스트리(Sourcetree) 프로그램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. 이때 사용되는 깃 명령어에 대해 몇 가지 적어보고자 합니다. 윈도우 컴퓨터 또는 맥에서의 상황입니다. 옵시디언을 사용하다보면 대부분 초기에 자료의 동기화에 대해 관심이 많으실텐데요 저 또한 깃이 뭔지도 모르고 어떻게 사용하는건지 두려움에 떨었습니다. 역시 시간이 해결해 주었습니다. 자주 사용하니. 조금씩 익숙해졌고. 나름의 팁도 생겼는데요~ 몇 가지 안내드리겠습니다. 우선. 깃허브와 나의 로컬 데이터 간 연동(클론 등)을 시키고 소스트리를 실행시키면~ 당연히 깃허브의 자료와 나의 로컬 데이트는 동일한 자료의 상태일껍니다. 바로 아래 그림처럼요~ 여기에서 옵시디언에서 뭔가 작성을 하고 기록을 남기고..

이번 글의 주인공 어플인 Working Copy 는10일의 무료기간 후 3만원 결재를 해야 되는 유료 어플이다. Obsidian 을 처음 접하고 동기화 과정에 대해 여러 어려움이 있었다.거의 2달 가까이 끙끙 앓아본 경험으로 동기화 과정에 대해 작성 중에 있다. 아이폰, 아이패드, 맥북 그리고 윈도우 를 사용하고 있어서그간 리모틀리 세이브 를 이용한 동기화로 어느 정도 스스로 중간 타협을 하고 사용중에 있었다. Obsidian - Sync 라는 구독형 유료도 있지만. 일단 보류하고 사용하고 있었다.사무실(윈도우)과 개인 컴퓨터(윈도우 + 맥 M1 에어) 에서 작업을 하고아이폰과 아이패드에서는 확인용으로 사용하고자 타협해 왔다.(그래픽 뷰 볼수 있는게 어디야~ 이런 생각 ~ ) 지금 소개하고자 하는 W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옵시디안
- IOS
- R
- 클라우드
- 옵시디언
- 빅분기
- WebDAV
- 실기r
- Working copy
- 파이차트
- 깃헙
- 입시결과
- markgit
- 제1유형
- 리모틀리세이브
- 깃
- infinicloud
- Nplayer
- SourceTree
- tableau
- git
- 실기 r
- OBSIDIAN
- 실기
- 깃허브
- 빅데이터분석기사
- Raidrive
- 동기화
- 태블로
- Github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