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여러 기기에서 커밋(Commit) 할때 어느 기기에서 수행 한 것인지 구분하기 위한 안내입니다. 지난 번 옵시디언을 Working Copy 를 이용하여 활용할 때 구분 짓는 방법을 안내하고자 합니다. https://ho4win.tistory.com/18 Obsidian 동기화 - 3편(Working Copy) 이번 글의 주인공 어플인 Working Copy 는 10일의 무료기간 후 3만원 결재를 해야 되는 유료 어플이다. Obsidian 을 처음 접하고 동기화 과정에 대해 여러 어려움이 있었다. 거의 2달 가까이 끙끙 앓아본 ho4win.tistory.com 1. 첫 번째로 컴퓨터에서의 설정입니다. (아주 쉬움) 맨 오른쪽 상단의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. 고급탭에서 사용자 정보 - 전역 사용자 설정 사용..
5. Obsidian
2023. 3. 13. 21:28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깃허브
- 옵시디언
- 태블로
- IOS
- 리모틀리세이브
- tableau
- 실기r
- R
- 파이차트
- markgit
- 클라우드
- WebDAV
- 빅분기
- 입시결과
- 동기화
- Raidrive
- Github
- 옵시디안
- 제1유형
- infinicloud
- 깃헙
- git
- OBSIDIAN
- SourceTree
- 실기
- 깃
- 빅데이터분석기사
- Nplayer
- Working copy
- 실기 r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