5. Obsidian

Sourcetree 에서 Github 동기화 용어 알아보기

HO4WIN 2023. 12. 18. 11:16

깃허브를 이용하여 옵시디언 자료를 동기화할때
소스트리(Sourcetree) 프로그램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.

이때 사용되는 깃 명령어에 대해 몇 가지 적어보고자 합니다.

윈도우 컴퓨터 또는 맥에서의 상황입니다.

옵시디언을 사용하다보면 대부분 초기에 자료의 동기화에 대해 관심이 많으실텐데요
저 또한 깃이 뭔지도 모르고 어떻게 사용하는건지 두려움에 떨었습니다.
역시 시간이 해결해 주었습니다.
자주 사용하니. 조금씩 익숙해졌고. 나름의 팁도 생겼는데요~
몇 가지 안내드리겠습니다.

우선. 깃허브와 나의 로컬 데이터 간 연동(클론 등)을 시키고
소스트리를 실행시키면~
당연히 깃허브의 자료와 나의 로컬 데이트는 동일한 자료의 상태일껍니다.

바로 아래 그림처럼요~
Sourcetree 에서 Github 동기화 용어 알아보기_그림/image-202312_18_1057.png

여기에서 옵시디언에서 뭔가 작성을 하고 기록을 남기고 나면.
Sourcetree 에서 Github 동기화 용어 알아보기_그림/image-202312_18_1058.png

이렇게 나의 로컬 기기의 자료가 뭔가 작성이 되었고,
아직 동기화를 하지 않은 예전 자료 버전을 가진 깃허브의 상태가 아래쪽에 위치합니다.
또한 자료의 변경으로 커밋하라는 알람도 뜨네요~

이 상태에서 커밋 후 푸시(Push) 하면
다시 나의 기기와 깃허브와의 자료가 같은 상태(같은 위치)가 되는 것입니다.

orgin 이 바로 원격. 깃허브의 위치 입니다~ ^^

감사합니다~ ^^
This Report is made in Obsidian

반응형